본문 바로가기
경동택배접수관련글

경동택배 접수시 택배비 적절한 운임 확인하기

by c.knot 2022. 3. 28.
반응형

썸네일_경동택배_가격정리
경동택배_가격정리

경동택배 접수 배송비, 택배비, 기타운임, 특별 운임 알아가세요

경동택배 혹은 화물 접수 시 그냥 무조건 경동택배 영업소에서 측정하는 데로 비싸게 보내고 있는지 싸게 보내고 있는지 적절한 운임에 가고 있는지 알고 보내십니까? 이제 까지 모르셨다면 이번 포스팅에서 정보를 획득해 가셔서 경동택배를 이용하시는 기업 택배 담당자님 혹은 일반 소비자 분들은 호구되지 않는 정당한 운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경동택배 접수 시 배송비 말고 그 외 운임 정리하기

일반 소화물 택배사 CJ대한통운, 로젠, 한진, 우체국, 롯데 등 다양한 택배사들이 있으며 모두 제각각의 운임이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소화물의 경우 그 범위가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집하 기사의 재량으로 서로 간의 경쟁을 하며 100원짜리 싸움도 많이 하지요.

하지만 소화물과 중량물을 둘 다 취급하는 B2B, B2C를 취급하는 경동택배 및 합동택배는 정해진 표준운임체계에 맞게 운임을 측정하게 되어있습니다.

운임의 종류 8가지 중 4개의 운임 설명하기 

  • 할 증 운 임
  • 배 송 운 임
  • 도 서 운 임
  • 기 타 운 임
  • 특별 운임(해체비, 2인 배달비)
  • 하역비
  • 대기 비
  • 도착 보고 비

첫 번째 할증운임입니다. 할증운임이란 택배 품목에 대한 물건 당가가 2,010,000원(2백1만 원) 이상의 제품에 대하여 별도의 고가품으로서 보험을 넣어 기본 택배 보험비 별도로 내셔야 하는 금액입니다. 2백만 원 까지는 할증운임이 부가되지 않으며 2백1만 원부터 할증운임이 계산됩니다. 할증운임 계산 방법은 1만 원부터 50원이 붙습니다.

201만 원*50원= 할증비 50원이 붙으며 금액이 올라갈수록 할증운임도 계속 증가합니다.

물품단가 할증운임값
300만원 5,000원
400만원 10,000원
500만원 15,000원
600만원 20,000원
700만원 25,000원
800만원 30,000원
900만원 35,000원
1,000만원 40,000원

단. 500만 원 이상의 물건은 영업소에서 취급하기 꺼려하며 500만 원 이상의 물건은 웬만하면 안전하게 용차나 퀵을 권하는 편입니다.

 

 

 

 

 

두 번째 배송 운임입니다.

배송비 혹은 택배비라고 말하는 배송 운임은 아주아주 디테일하게 측정을 해놨습니다. 바로 표준운임체계를 도입하고 난다 음부터는 웬만한 영업소에서의 운임을 측정하는 것에 대해 표준화가 많이 되었으며 이전 표준운임체계가 정확히 도입되기 전에는 운임표는 존재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눈대중의 운임 측정으로 이루어져 영업소마다 운임 측정기준이 다 달랐습니다. 배송 운임 측정 방법은 가로(cm)*세로(cm)*높이(cm)=총 부피 값(㎠)으로 계산을 합니다.

그리고 그 부피 값을 토대로 50,000㎠부터 시작해 2,000,000㎠ 이하까지의 운임이 나열되어 표준운임 책자로 나와있습니다. 물론 2,000,000㎠이상의 부피 값이 나와도 엑셀이 만들어져서 아무리 큰 것이라고 해도 화물차 안에만 들어가는 물건이라면 부피 값으로 운임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즉 4,500원부터 시작해서 10만 원 이상의 금액으로 택배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게 값을 토대로 운임 측정방법도 있습니다. 20kg 이하부터 1,010kg 이하까지 무게가 표준운임으로 나열되어있으며 20kg 이하부터 51kg 이하까지 1kg 증가할 때마다 200원씩 올라가며 51kg부터는 170원씩 증가 110kg부터는 500원씩 증가 210kg부터는 810원씩 증가하며 무게가 올라갈수록 점차 점차 증가하는 방식입니다.

<표준운임 확인하기>

 

왜 부피 운임과 무게 운임 둘 다 있을까요? 바로 구별하기 위해서입니다. 부피는 아주 작은 상자인데 금형과 같은 무거운 품목들은 무게 운임으로 측정을 하게 되어있으며 부피는 아주 크지만 무게가 가벼운 것들은 부피 운임으로 측정을 합니다. 그래서 부피 운임도 측정하고 무게 운임도 측정해서 부피와 무게 중 운임 측정값이 더 큰 것으로 적용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부피 운임 값이 1만 원이 나오고 무게 운임 값이 8천 원이 나왔다고 하면 부피 운임 1만 원으로 적용하며

부피 운임 1만 원이 나오고 무게 운임 값이 1만 2천 원이 나왔다면 무게 운임 값으로 측정을 해야 합니다.

표준운임_부가설명
표준운임_부가설명

세 번째. 도서운임입니다. 도서산간지역이라고도 하며 도서지역은 표준운임이 별도로 측정되어있으며 도착지 영업소와 배달을 받아야 할 고객의 주소가 현저히 멀거나 또는 선박을 이용해야 하는 섬을 배달해야 할 때 운임이 적용이 됩니다.

 

67개의 섬(고대도, 고의도, 곤리도, 국화도, 금당도. 금일도, 낙월도, 난지도, 노화도, 녹도, 대청도, 덕적도, 도초도, 두미도, 득량도, 말도, 매물도, 매화도, 모도, 무의도, 백령도, 병풍도, 보길도, 볼음도, 비금도, 비진도, 사량도, 삽시도, 생일도, 서검도, 선도, 소안도, 소청도, 시도, 시산도, 신도, 신의도, 안좌도, 암태도, 압해도, 연대도, 연평도, 연화도, 외연도, 욕지도, 울릉도, 원산도, 위도, 임자도, 자월도, 자은도, 장고도, 장봉도, 장산도, 재원도, 제주도, 주문도, 청산도, 추도, 추봉도, 팔금도, 하의도, 학림도, 호도, 효자도, 흑산도) 등이 있습니다.

 

보통 도서운임의 경우는 표준운임의 2배라고 보시면 됩니다. 흑산도로 택배비 6,000원을 기입을 하면 도서운임에 6,000원이 더 붙어서 총합계 배송 운임이 12,000원이 됩니다. 

 

도서지역은 택배와 화물 둘 다 가능한 곳도 있지만 택배가 불가한 지역도 있으며 화물만 가능한 곳이 있습니다. 또한 도서지역은 착불이 불가한 지역도 있습니다. 본인의 지역이 또는 물건을 주문한 고객의 지역이 도서지역이라면 착불 택배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는 점을 알고 있으셔야 합니다.

 

네 번째 기타 운임입니다. 100원 운임 혹은 백변이라고도 하며 이 기타운임에 대해 이해를 시키는 것도 돈을 내야 하는 고객도 이해하기가 어려운 약간 복잡한 운임입니다. 개념 설명해 드립니다. 결론은 기타운임은 100원을 지불해야 하는 것입니다.

경동에서는 이것을 "백변"(백 원 변상 준비금)이라고 합니다.

 

기타운임=100원=백변이다라고 이해시면 되는데 변상 준비금. 즉 모든 택배 접수건 1건 1건마다 접수할 때 100원을 납입함으로써 본사에서 100원을 모아 어떠한 변상이 발생했을 때 변상 준비금으로 변상을 하루빨리해주기 위해 나타난 제도입니다. 영업소에서 120건 오늘 택배를 발송했다고 하면 12,000원의 돈을 본사에 납입하게 된다 모든 영업소에서 이렇게 모인 돈들이 모여 변상 준비금으로 마련이 됩니다. 여기 100원은 물건을 접수하는 고객님이 납입해야 하는 돈입니다. 택배를 착불 택배로 보내든 선불 택배로 보내든 상관없이 접수하는 사람이 100원을 내게끔 되어있습니다. 

100원_변상_준비금
100원_변상_준비금

사실 각 경동택배 영업소에서 악착같이 100원을 받는 영업소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100원을 요즘 들고 다니는 사람이 없다 보니 100원을 못주는 분들은 발송 영업소에서 내고 있는 방식입니다. 경동택배를 이용해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지급 안 해도 택배 보낼 수 있다.라고 생각하신 분들은 그것이 발송 영업소에서 대신 내주고 있다.라고 보시면 정확하겠습니다.

 


경동택배 운임을 확인하기전 먼저 알아야 할 용어가 있습니다. 경동택배에서 쓰는 용어를 제대로 알아야 화물과 택배를 접수할때 안전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경동택배 접수(용어 개념)에 대해 확인하시고 나의 택배 물건 소중히 배달될 수 있게 참고하십시오

 

 

경동택배 접수 방법 총 용어정리

경동택배 접수 방법전 화물 용어 정리하기 경동택배 접수 방법 및 택배 그리고 화물에 대한 용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자! 지금부터 경동택배를 이용하는 실무자라고 하시면 읽어보신다면 분

cknot1000.com


다음은 운임 8가지 중 나머지 내용을 다뤄 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