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부여. 슬럼프에 빠진 사람 다시 완벽한 하루 보내기.
어떠한 삶을 살아가며 열심히 하루하루 정말 하루하루 열심히 살다 보면 동기부여가 필요한 시점이 옵니다. 바로 슬럼프에 빠진 자신을 발견했을 때. 무기력함과 생산성 없는 시간을 핸드폰을 보며 보내죠 그런 사람을 다시 완벽한 하루 보내기 위한 방법을 알려주는 위대한 백만 유튜버의 팁을 공유해 드립니다.
엄청나게 생산적으로 한 달을 시작하면서 모든 면에서 완벽한 나날을 보내고 있는 사람 꾸준히 책을 읽고 운동을 하고 제시간에 모든 일을 끝내고 있는 분. 그러다 이상한 일이 일어나면서.. 잠을 잘 못 잔 건지.. 잠자다 안 보이는 유령에 씐 건지.. 갑자기 해오던 모든 일이 어렵게만 느껴져 너무 피곤하고.. 가졌던 동기부여도 다 사라지는 사람.. 그 완벽했던 날은 어떻게 했던지 기억도 나지 안 나면서 완벽하고 맑았던 어제의 정신상태는 이미 사라지고 없어진.. 그렇게 불행하게도 슬럼프는 일상의 모든 영역에 스며듭니다. 슬럼프에 빠진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하지요.
이래서 안 되겠단 나머지 운동을 해야겠단 다짐은 너무 게을러진 나머지 다음날로 미루게 되고.. 하루가 이틀이 되고 이틀이 일주일이 되어버리면서 귀찮아서 인스턴트식품을 먹게 되고.. TV와 게임하는 시간은 늘어나지요 그렇게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고 싶지도 않게 됩니다.
어떻게 완벽한 하루를 보냈는지도 까먹은 것이죠. 누구에게나 이 작심삼일 같은 패턴 즉 짧은 성공과 긴 슬럼프는 정말 일반적인 일입니다.. 정말 일반적이죠. 그래서 전달해드립니다.
우울하고 암울한 슬럼프를 깨고 다시 완벽한 하루를 보내는 실용적인 방법을 공유합니다.
- 원칙적 행동 사이클
- 작은 행동 보상
- 점진적 과부하
첫 번째 방법은 '원칙적 행동'을 먼저 하면서 큰 행동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양치 사진> 일종의 행동을 촉발할 뭔가를 먼저 하는 것이죠.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행동 혹은 작은 시작을 알리는 행동. 즉 원칙적 행동을 한다는 것은. 쉽게 말해 몸을 움직이는 것을 뜻합니다. 아무것도 하기 싫을 때 말이죠. 많은 사람들이 '행동'을 하기까지는 반드시'동기부여'가 필요하며 그 동기부여를 얻기 위해선 무언가에 '영감'을 받아야 한다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서칭을 하다가 동기부여 영상을 보게 되고 영상을 다 본 후에 그의 의견에 뭔가를 깨닫고 영감을 받아서 행동을 하게 되죠. 그렇게 영감은 목표로의 행동을 시작하는 적절한 동기부여가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원칙적 행동법칙'은 세 가지 '영감', 동기'그리고 '행동'을 단순한 배열이 아니라 끊임없는 사이클로 봐야 합니다.
그리고 어디서든 시작할 수 있도록 하며 그렇게 효율적'작은 행동'으로 시작해서 필요한'영감'과 '동기'를 얻으며 또 다른 행동을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여기서 독자분들은 이렇게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고 싶은 의욕이 없을 때 뭐라도 하라고? 참 도움 되는 소리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살다 보면 의욕이 없어도 행동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샤워를 하는데 영감이 필요한 것은 아니죠 그냥 하는 행동이며 이러한 단조로운 행동들을 통해 슬럼프를 극복할 가속도를 얻으라는 것입니다.
마냥 앉아서 의욕이 생기길 기다리지 말고 '작은 행동'을 위해서 말이죠. 무기력할 때 의욕이 없을 때 양치질이라도 하로 가란 것이죠. 그 작은 행동을 위해 움직이게 하는 것이죠.
비록 작은 행동이지만 더 큰 행동을 하기 위한 탄력을 줄테니까 말이죠 엄청 긴 논문을 써야 한다면.. 절대 이렇게 생각하지 마십시오 "4,000 단어 짜리 논문을 써야 하는데..."그게 아니라 컴퓨터에 워드를 켜고 1분 동안 생각나는 걸 적어보자.. 그게 네가 해야 할 전부야.. 하지만 일단 쓰기 시작하면 정했던 1분 이상 하고 싶을 겁니다.
작은 행동이 그렇게 여러분을 설득할 것입니다. 이것이 원칙적 행동 사이클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첫 번째 방법과 대조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작은 행동에 '보상'하는 것입니다.
만약 이 글을 한 번이라도 봤다면.. 내가 항상 모두를 위로해주거나 칭찬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걸 알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도 나와 같은 부류라면 단순하게 샤워하는 작은 행동에 자신에게 상을 준다는 생각이 오글거리겠죠. 더 어려운 일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할 테니까. 하지만 그래도 작은 성취에 상을 줘야 합니다. 특히나 슬럼프에 빠져있을 때는 심리적으로 '보상'이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것과 관련 있는 사실을 말하자면 우리의 두 부분의 뇌 때문이지요. 좌뇌와 우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동기와 감정을 담당하는 줄기세포 같은 우리 뇌의 '원시적 부분' 그리고 뇌의 전두엽 피질에 존재하는 추상적, 도덕적 측면을 담당하는 '논리적 부분'의 전두엽 피질은 우리가 '원칙적 작은 행동'을 취하면 '원시적 부분'의 뇌를 설득해서 '더 큰 행동'을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즉 두 부분의 발란스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죠 보상으로 자신과 협상을 하는 것입니다.
만약 보상 없이 '원시적 부분'에만 집착하면 두뇌는 극도로 몰아세워져서 예민해지고 '논리적 부분'은 뭔가를 해야 하는 걸 알지만 아무것도 하기 싫은 상태가 되어버리죠. 그렇기에 높은 판단력을 이용해서 원시적 부분'의 뇌에 조금씩 동정심을 가지고 보상을 해야 합니다.
하루 종일 너무 게을러져서 앉아 있는 것 말고 아무것도 하기 싫다면 '그냥 원칙적 행동'을 해보십시오 원시적 부분의 뇌를 설득해서 양치질을 하거나 샤워를 하는 것이죠. 옷을 단정히 갈아입고 청소를 하던가 그러다가 피곤해지거나 불안해지면 조금 쉬기도 하고 말이죠. 이 글이 의심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논리적 부분'의 뇌는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 부추길 테니까 말이죠. 하지만 쉽게 생각해 생산적 행동을 했으니 상을 주는 거라고 말이죠.
한동안 도파민이 과도하게 분비됐으니 편하게 안정된 시간을 보내 보는 것입니다. 그럼 이쯤에서 생각하겠죠., "도대체 언제 다시 추진력을 얻어서 "작심삼일의 늪에서 벗어나라는 것이야?"라고 말이죠
그 부분을 이 세 번째 부분에서 점진적 과부하에 대해 설명 이어갑니다.
세 번째 방법은 '점진적 과부하'라고 하는 것인데 마치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는 것과 같습니다. 즉 한 번에 너무 많은 일을 해서 요요현상을 겪으며 '원시적 두되'가 스트레스받아 장기간의 슬럼프에 빠지기보다는 여러분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아주 천천히 점진적으로 만들어 갈 것입니다.
천천히 시간이 가며 익숙해지고 생산력은 높아져서 더 많은 일을 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적절한 보상도 해가면서 말이죠.
물론 어제의 당신과 오늘의 당신을 비교하며 절대 남들과 비교하면 안 됩니다.
예를 들어, 슬럼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일주일이란 시간을 가지고 계획을 세우는 게 하루아침에 벗어나려고 하는 것보다 훨씬 더 현실적인 것이죠. 그렇게 첫 번째 날에는 여전히 스마트폰만 보며 아무것도 하기 싫을 테니까 그냥 '한 가지 생산적인 행동'만 하기로 자신을 설득해보는 것입니다,
첫 번째 날에는 그것만으로 충분합니다. 점차적으로 조금씩 더 행동할 테니까요. 그것으로 만족해도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다음날은 어제 한 행동의 뿌듯함을 느끼게 되고 어제 한 행동의 뿌듯함을 느끼게 되고 오늘은 조금 더 하려고 노력할 테니까 그렇게 하나씩 매일 늘려간다면 매우 자연스럽게 점진적으로 두 부분의 뇌가 유기적으로 일치하게 되며 쉽게 '작심삼일 슬럼프'에서 나오게 될 것입니다.
언제 그랬냐는 듯 월초의 생산적인 일상을 되찾는 것이죠. 가장 중요한 것은 기대치를 조절하고 인내심을 가지는 것. 그리고 '원시적 두뇌'와 ''논리적 두뇌' 사이에 보상을 통해 더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죠. 이 두 부분의 시너지는 장기적인 성공에 필수적인 요 소니 까요. 이렇게 여러분이 원하던 일상을 만들면 그 일상은 오래도록 지속이 가능할 것입니다.
위 내용은 어느 백만유튜버의 동기부여 내용을 참조합니다.
'세계는 변화 우리의 공감자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일혜택 알아가세요! (0) | 2022.04.13 |
---|---|
장례식장 예절, 용어 총 정리 (0) | 2022.04.10 |
농협인터넷뱅킹 갱신 절차 (0) | 2022.03.21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보고 대한민국의 통일의 필요성 (0) | 2022.03.20 |
이제는 무중력으로 성관계 우주호텔? 생식건강 연구 (0) | 2022.03.18 |
댓글